신규발행 1년새 15% 감소
50대 사업가 이모 씨는 2억 원을 투자했던 주가연계증권(ELS)이 최근 1년 만에 조기 상환된 뒤 고민 끝에 ELS에 재투자하지 않기로 했다. 이 씨는 “최근 증시가 불안해 조기상환을 받기 어려울 것 같다. 수익률도 4%대 수준에 불과해 굳이 위험한 ELS에 투자할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
수년간 ‘중위험 중수익’의 대표 주자로 군림하던 ELS의 지위가 흔들리고 있다. 지난해 글로벌 증시 하락으로 조기 상환에 실패한 사례가 속출했고 올해도 주요국 증시가 부진할 것이란 전망이 이어지자 손실 위험이 큰 ELS 투자를 기피하는 투자자가 늘고 있다.
9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올해 1분기(1∼3월) 원화와 외화로 표시된 ELS와 ELB(주가연계파생결합사채) 미상환 잔액은 74조5691억 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1분기(59조5413억 원)보다 약 25% 늘어난 것이다.
미상환 잔액이 크게 늘어난 건 지수형 ELS가 주로 편입하는 미국, 홍콩, 유럽 증시가 크게 하락하면서 조기 상환 규모가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국내에 발행된 ELS의 약 80%가 기초자산으로 삼고 있는 홍콩 H지수는 지난해 1월 13,000 선 중반까지 올랐으나 이후 하락을 거듭하며 올해 초에는 10,000 선 밑으로 떨어지기도 했다.
ELS는 대부분 3년 만기로 발행되며 6개월마다 중간평가를 해 기초자산이 일정 수준을 넘으면 중도 상환되는 구조를 갖고 있다. 투자자 대부분은 6개월 내지 1년 정도 단기 투자로 은행 정기예금 금리보다 높은 수익을 올리기 위해 ELS에 투자한다.
하지만 최근 글로벌 증시 하락으로 조기 상환이 미뤄지는 사례가 늘어나자 투자자들 사이에서 불안감이 확산되고 있다. 미국과 중국의 무역 갈등이 격화되면서 각국 증시가 불안한 모습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ELS 신규 발행 규모도 19조8000억 원대로 1년 전보다 15% 감소했다. 증권사 프라이빗뱅커(PB)들은 올해 들어 고액 자산가들을 중심으로 ELS 투자를 피하는 모습이 나타나고 있다고 입을 모은다.
수익률이 과거보다 못한 것도 ELS 투자가 줄어드는 원인으로 꼽힌다. 과거에는 ELS의 연간 수익률이 5%를 상회했지만 최근에는 4% 중후반이 대부분이다. 2016년 초 홍콩 H지수 폭락 사태로 원금손실 구간(녹인·knock in)에 들어선 ELS가 많아지자 각 증권사들이 손실 위험을 줄이는 대신 수익률도 낮추기로 했기 때문이다. 정상규 신한PWM 프리빌리지 강남센터 PB팀장은 “해외 채권이나 부동산 펀드, 배당주 등 연 4% 수익률을 보장하면서 위험은 낮은 대안 상품이 과거보다 크게 늘어 굳이 ELS에 투자할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ELS를 판매하는 국내 증권사들은 투자자를 끌어들이기 위해 조기 상환 주기를 조정한 새로운 구조의 ELS를 내놓고 있다. NH투자증권은 통상 3년인 ELS 만기를 1년으로 단축하고 중간평가 주기를 6개월에서 1개월로 줄인 ELS를 선보였다. KB증권은 투자 후 1년 이내에 조기 상환 기회를 5번 집중 배치하는 상품을 내놨다.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창간기획] 대한민국 요양보고서 1부 돌봄orz ②착취당하는 요양사들 (0) | 2019.05.15 |
---|---|
숨 멈춰야 해방되는 곳…기자가 뛰어든 요양원은 ‘감옥’이었다. 1. (1) | 2019.05.13 |
우체국, 순도 99% 골드바 판매 돌입…최저 55.7만원, 최고 2757만원 (0) | 2019.05.02 |
해외로밍 통화료 LGU+가 가장 비싸 (0) | 2019.04.26 |
어느 쪽이 친일이고, 무엇이 나라 망치는 매국인가 (0) | 2019.0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