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r2/건강

복부비만 1.

오완선 2016. 12. 31. 09:45



1. 복부비만 왜 위험한가

비만은 체지방 증가로 대사 이상이 발생한 상태다. 세계보건기구(WHO)는 비만을 체형문제를 넘어 사망률을 높이는 질병으로 규정했고, 미국의사협회도 2013년 비만을 질병으로 선언했다. 우리나라는 비만 여부를 체질량지수로 진단한다. 체질량지수는 체중을 신장(m)의 제곱으로 나눈 수치로, 체질량지수 25kg/㎡ 이상을 비만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체중 75kg, 신장 170cm인 경우 체질량지수는 75÷(1.7×1.7)=25.9로 비만에 해당된다.

전 세계에서 약 15억 명(2008년 기준)이 체질량지수 25kg/㎡ 이상으로 추정되고 있다. 비만학회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2015년 성인 남성 40.7%, 성인 여성 24.5%가 비만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비만인 사람의 공통된 특징은 배가 나와 있다는 것이다. 비만은 소비하는 에너지보다 섭취량이 많을 때 생기는데, 체중이 증가하면 허리둘레가 같이 증가한다. 따라서 복부비만을 진단할 때는 허리둘레가 남성은 90cm 이상, 여성은 85cm 이상을 기준으로 삼는다. 복부비만은 활동량 부족으로 인한 내장지방량 증가가 주원인이다. 내장지방은 에너지가 부족할 때 가장 빨리 소비할 수 있는 위치이기 때문에 살이 찌면 배가 나오게 된다.

복부비만은 ‘내장지방형’과 ‘피하지방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내장지방형은 지방이 복강 내 내장 주위에 많이 존재하고, 피부 아래층에는 상대적으로 적은 상태를 말한다. 주로 남성이나 폐경 후 여성이 많다. 같은 복부비만이라도 이런 유형에선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이 잘 발생한다. 피하지방형은 지방이 피부 아래층에 많이 존재하며, 복강 내에는 상대적으로 적게 분포된 상태를 말한다. 폐경 전 여성에게서 많다.

 

체질량지수와 질환위험도
체질량지수와 질환위험도

복부비만, 합병증 위험 높인다
대한비만연구의사회 김민정 회장은 “우리나라는 중증비만 유병률은 높지 않지만 경도 및 중등도 비만이면서 복부비만 형태가 많다”며 “비만이라도 내장지방의 축적이 심한 복부비만은 질병의 합병증 위험률을 높인다”고 말했다. 특히 복부비만은 비만자체의 위험성뿐 아니라 다양한 질환을 유발시킬 수 있으며, 최근에는 대사증후군 개념과 함께 관련 연구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대한비만체형학회 윤장봉 회장은 “정상체중인 경우에도 대사 이상, 심혈관질환, 당뇨병 등의 발생이 높아 대사적으로 비만인 경우도 있다”며 “특히 내장지방의 축적이 심할 경우에는 체중에 관계없이 심혈관질환과 대사증후군 위험도가 높아진다”고 말했다. 복부비만은 복강 내 내장지방량 증가로 인해 인슐린 저항성 이상, 이상지혈증, 고혈압, 당뇨, 관상동맥질환 등 대사증후군을 발생시키며, 대장암이나 유방암, 전립선암까지 증가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외에도 역류성식도염, 치매까지 복부비만의 동반질환으로 꼽힌다. 이 때문에 비만인 경우 복부의 살을 가장 먼저 빼고 싶어 하며, 미용적 측면에서도 개인의 심리적 위축과 사회적 부적응을 초래할 수 있어 복부비만 치료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강북삼성병원 내분비내과 박철영 교수는 “복부비만은 에너지 과잉상태로 저장 상태가 불안정해 쉽게 주변 기관의 기능을 망가뜨린다”며 “인슐린을 분비하는 췌장기능에 영향을 줘 간에 지방이 쌓이게 만들고, 결국 혈당을 높이게 만든다”고 말했다. 이어 박교수는 “혈관에 기름이 쌓이면서 혈관내피 기능에 문제가 생기고, 동맥경화성 변화로 혈압도 높아지게 된다”고 말했다.

 

                     
복부비만

복부비만의 지방이 불러오는 합병증
복부비만인 경우 내장지방량이 증가한다. 내장지방량이 많아지면 간에 지방이 많이전달된다. 이로 인해 간에서 포도당을 많이 만들어서 혈당이 증가하게 된다. 또 지방이 늘면 근육에서 포도당 흡수를 막아 근육 내 포도당 사용이 줄어든다. 이러한 상태가 지속되면 당뇨병이 발생한다. 이와 함께 간에서 주로 중성지방을 많이 만들어 혈관으로 방출하게 되면 혈액에 지방이 많아지는 이상지혈증이 발생한다.

또 복부비만으로 신장 주위의 지방량이 증가하고 지방세포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인 렙틴이 상승하면 혈관내피세포 기능에 장애가 생겨 고혈압이 발생된다. 이런 변화가 나타나면 뇌중풍, 심근경색증 같은 뇌심혈관질환의 발생 위험이 증가하고 사망률도높아진다. 무엇보다 복부비만은 비만과 마찬가지로 신체적·정신적·심리적 건강 모두에 걸쳐 영향을 미친다. 크게는 대사 이상 질환과 과도한 체중에 의한 질환으로 나눌 수 있다.

 

비만의 계통별 동반 질환
비만의 계통별 동반 질환

복부비만, 목숨걸고 줄여야 하는 이유 ②


출처 :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6/12/26/2016122600721.html